7월 미국 상호관세 유예 종료 앞두고 수출국 협상 분주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종료가 7월 9일로 예정된 가운데 주요 수출국들이 막바지 협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국은 자동차·철강 품목 중심의 논의가 진행 중이며, 일본·EU 등도 유사한 이슈로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베트남·태국·말레이시아는 관세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협상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관세 정책 변화는 산업별 수출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상호관세 유예 종료 임박, 수출국들 막판 협상 속도전 오는 7월 9일로 예정된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 만료를 앞두고, 주요 교역국들이 관세 부담을 피하기 위한 협상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번 조치는 미국이 주요 무역 상대국과 양자 협정을 맺는 것을 목표로 도입한 것으로, 협상 타결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고율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정식 협정을 체결한 국가는 영국이 유일하며, 한국, 유럽연합(EU), 일본, 인도 등 다수의 국가들은 여전히 조율 단계에 머물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가운데 한국은 자동차와 철강 분야에서 부과된 품목별 관세 문제를 중심으로 협상을 진행 중입니다. 지난 23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측 관계자들과 논의를 가졌지만, 구체적인 성과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특히, 정상 간 회담이 무산되면서 협상 속도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25% 부과 가능성은 한국 수출 산업 전반에 부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 정부의 대응 방향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자동차·철강 중심의 통상 리스크 확대 이번 상호관세 유예 종료가 다가옴에 따라, 자동차와 철강을 포함한 핵심 수출 품목들이 우선적으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이들 품목에 이미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상태이며, 추가적인 상호관세가 더해질 경우 수출 경쟁력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됩니다. 특히, 미국 시장 비중이 높은 자동차 산업은 현재 25%의 관세 부과 위험에 노출돼 있으며, 이는 기업의 원가 구조와 수익성 전반에 부담...